행복학교 확산을 위한 교사연수
행복학교 확산을 위한 교사 연수
순수성과 현실성(상업성)은 대척점이지만 상보적인 관계이다.
-창원교육장 송승환
교육 4.0
교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가르침. 배움. 코칭.
보살핌(큐레이팅, facilitating)
교사는 질문을 큐레이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에 있어 지식전달이 아니라 메타인지를 통한 교육이 중요하다.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규율. 자율. 자주.
주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미래역량은 무엇인가?-인재4.0
창의력(creativity). 인성(personality). 협업(collaboration).
융합(convergence)
을 위시한 사고의 과정. 비판적 사고 등을 포함한다.
즉, 바른인성과 창의융합이 두 축이 된다. 바른인성이라 함은 인문학적 인간다운 품격을 이야기하고.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을 융합함으로 창의융합을 기를 수 있다.
창의 융합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서 새로움을 만나다
과학기술(technology)와 인문예술(liberal arts)를 융합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 Arts. Math)
스팀은 수학을 기초로 과학과 기술을 공학과 예술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는 개념. 원리. 공학. 상상. 논리의 융합입니다. 과학과 기술은 인간을 편리하게 해야 하고, 이를 상상력으로 심미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수학은 왜 이것들의 기반이 되는 것인가? 이는 수학적 사고력이 문제해결력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스팀교육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가?. IB의 초학문적 주제와 스팀을 융합한다면...?
어떻게 하면 융합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가?
computational thinking. open-ended problem. 문제해결력을 통한 배움. 논리적 사고, 수리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질문을 던져 주는 것은 중요하다.
분해(decomposition): 통합적인 문제를 부분적인 요소를 분해하여 생각할 수 있는 능력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및 알고리듬(algorithm): 주어진 패턴을 인식하고 알고리듬을 파악해서 해결하는 능력. 알고리듬을 수학적 언어로 풀어 내는 것이 코딩이다.
추상(abstraction)
수학을 과학으로 예술로 공학으로 표현하는 교육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까지 나아갈 수 있다. ex) 피보나치 수열의 자연에서의 발견.
복잡한 것을 심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하게 알고 있는 것이다.
바른 인성
무엇이 될지가 아니라 어떤 사람이 될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 될지를 생각할 수 있게 해야한다. ib의 “who am i”의 초학문적 주제와 일맥상통할 수 있음. #미래교육 #STEAM #융합교육